24365기도

  • 홈 >
  • 훈련/선교/기도 >
  • 24365기도

매일 전 세계를 위하여 하루 1시간씩 한 나라를 위하여 기도합니다.

효성동교회는 24365기도 172팀입니다.

24365기도
180530-태국1 운영자 2018-05-30
  • 추천 0
  • 댓글 0
  • 조회 311

http://hyosungch.or.kr/bbs/bbsView/46/5432416

53024365기도는 태국입니다.

(530-31)

 

지리

면적 513,115.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등과 국경을 이루고 있으며 비옥하고 물이 많다.

 

인구

201068,139,238

202071,443,041

 

수도 방콕

기타 주요 도시 방콕/톤부리 광역도시 7,000,000

도시화 34.0%

15세 이하 인구 22.0%

평균수명 68.7

 

종족

동남아시아인 81.0%. 타이족(Thai) 78.4%, 4개 주요 종족. 중부 31.3%, 이산(라오-타이)26.5%, 북부 10.6%, 남부 9.2%. -크메르족 1.2%, 25개 종족. 주요 종족: 쿠이족 0.5%. 타이족(Tai) 0.9%, 16개 종족. 기타 동남아시아인 0.5%. 베트남인, 미아오족/몽족, 라오족, 샨족, 참족 등. 동아시아인 10.8%, 중국인(7) 10.6%. 현재는 대부분 태국어를 사용한다. 일부 자료는 중국인이 17%라고 주장한다. 말레이족 6.1%, 8개 종족. 대부분 최남단 지역에 거주 한다. 파타니 말레이족 5.0%, 말레이족 1.0%. 티베트-버마족 1.2%, 17개 종족. 주요 종족: 카렌족(8) 0.9%. 기타 0.9%. 남아시아인, 서구인 등. 이 수치에는 여러 종족으로 구성된 100만 명 이상의 미얀마 이주민이 포함되지 않았다.

문자해독률 92.6%

공용어 태국어

전체 언어 85.0

토착어 74.0

성경이 번역된 언어 전 16, 9, 19

 

경제

자유 시장경제 원리, 외국인 투자, 비옥한 농업 지대, 급속한 산업화로 의류, 새우, 설탕, 고무, 보석, 전자제품과 같은 부문을 많이 수출하고 있다. 태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쌀 수출국이기도 하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경제가 급속히 성장하다가 1990년대 후기 경제 공황으로 그 성장을 멈추었다. 그후 투자로 인한 성장도 2008-2009년에 일어난 경제 위기로 방해를 받았다. 관광업이 주요 경제 부문이며, 성매매와 마약 밀매 같은 고질적인 경제 범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인간개발지수 182개국 중 87

공채 GDP37.9%

1인당 소득 4,116달러(미국의 9%)

 

정치

13세기 이후 왕국으로 자리 잡아 한 번도 서구 세력에 지배당하지 않았다. 입헌군주국으로 대중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국왕이 나라를 하나로 모으는 안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태국 왕정은 세계에서 가장 오랫동안 통치하고 있는 왕정이다. 강력한 군대가 60년간 정치와 상업을 지배했다. 군부 지도자의 부패와 이기주의가 사회 각층에 부패를 확산시켰으며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군사 쿠데타로 2006년에 수상이 축출되었다. 그러나 2007년 선거에서 그가 속한 정당이 정부의 제1여당으로 다시 선출되었다. 야당이 모두 시위를 벌이자 이에 대한 반대 시위가 2008년에 고조되었다. 법원은 여당에게 선거 위반 혐의로 총리직 무효를 판결했고, 그후 주요 반대 집단인 민주주의국민연대(People’s Alliance for Democracy)가 이끄는 새로운 연립정부가 편성되었다. 2010년에 빨간 셔츠라는 정치적 압력 집단은 국민의 힘 당(People’s Power Party, 지난 2008년에 물러난 정당)에 충성하며 지속적인 저항운동을 시작하여 방콕 중심 지역을 점령하고 방콕의 도시 기능을 대부분 마비시켰다. 저항 운동이 심한 주요 지역은 결국 군대와 경찰이 점령했지만, 저항 운동이 중단될 조짐은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태국은 정치적으로 깊이 분열되어 있다. 최악의 시나리오로 내전을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또한 때때로 무슬림의 격렬한 폭동 사태가 일어나 남부 지역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종교

정부와 불교계의 유착을 막고 종교 공동체 간의 조화를 증진시키기 위한 1998년의 개정 헌법이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 모든 신생 종교 단체는 법적으로 인정받으려면 정부가 인정하는 제도권에 속해야 한다.

 

불교 85.32%

이슬람교 7.90%

무종교 2.40%

기독교 1.10%

 

기도응답

1. 태국 교회가 성장하고 있다. 수적 증가는 늘 잘해야 보통 정도였으나, 최근에 급속도로 늘고 있다. 태국의 많은 사람이 복음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많은 교회와 선교 지도자들은 현재 태국 교회가 가장 획기적으로 성장할 준비를 다 갖추었다고 느낀다. 이미 태국인 교회 신자의 65%1세대 신자다.

 

2. 토착민 지도자가 등장하면서 수년간 지도력 부재에 허덕인 태국의 필요를 채워주고 있다. 그들은 현재 태국 전국에 복음을 전하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가지고 있다. 태국 복음 전도·교회 성장 위원회(Thailand Evangelism and Church Growth Committee)는 기도와 구제 활동, 건전한 조사 활동을 현명하게 이용하여 태국의 8만 개 마을과 그 인근 지역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겠다는 당찬 계획을 가지고 있다.

 

3. 선교학적으로 급속히 성숙해지고 있다. 태국의 교회 현장에서는 꽤 오랫동안 기독교에 대한 외래적 표현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러나 불교 신자의 세계관과 태국 문화를 이해하고 민감해지면서 더 효과적인 선교사와 토착민 사역자를 양성할 수 있게 되었다.

 

기도제목

1. 태국은 불안정한 주변국 사이에서 안정과 자유의 섬으로 존재해 왔으나, “미소의 땅”(Land of Smiles)으로 불리는 태국에도 많은 문제가 있다. 다음에 언급된 긴급한 문제를 위해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혁과 현명한 지도력을 위해서 기도하자.

 

1) 2006-2008년에 있었던 정치적 대격변은 여러 정당과 군대, 왕실 사이에 깊고 복잡한 분열을 야기했다. 시위는 이 나라를 답보 상태에 빠뜨렸다.

 

2) 폭동 사태. 말레이시아 근처 남부 지역의 격렬한 폭동 사태가 수천 명의 생명을 앗아갔다. 이 사태는 주로 말레이시아 무슬림 소수 민족을 차별하여 이들이 과격해진 결과다.

 

3) 주변국과의 긴장 관계. 분쟁하고 있는 캄보디아, 재난과 박해를 피해 태국으로 100만 명 넘게 도망쳐 온 미얀마 등과 긴장 관계에 놓여 있다.

 

4) 죄와 부도덕의 구조적 문제를 근절하려는 노력에도, 이런 문제가 여전히 건재하다. 기업, 정치, 군대, 경찰분야에 있는 부도덕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억압하면서 부를 착취하기 위해 부정부패를 일삼고 있다. 성매매, 마약 거래망, 조직 폭력, 생태계 파괴와 같은 도덕적 황폐화는 그러한 행위로 이익을 남길 수 있거나 용인되는 한 끝나지 않을 것이다. 구조적인 죄악이 하나님의 능력으로 파괴되도록 기도하자.

 

2. 태국(Thailand)자유의 땅”(Land of Free)을 뜻한다. 주변국이 서구 열강의 식민지였을 때에도 태국은 자유를 누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교, 전통 문화, 진혼(鎭魂), 심지어 주술적인 관습까지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 이것을 뚫고 밖으로 나갈 엄두조차 내지 못할 정도로 사회적 응집력이 강하다. 태국인은 부처를 숭배하지만, 부처의 정신세계는 그들의 삶 속에 깊이 감추어져 있다. 태국인은 프라 사얌 데바드히라즈(Phra Sayam Devadhiraj)라는 특별 수호천사가 나라를 지켜준다고 믿으며, 이 영적 존재를 금 신상으로 만들어 숭배한다. 태국인에게는 국적과 종교가 연결되어 있다. 태국인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영적 돌파구를 찾아서 진정으로 자유로워지도록 기도하자.

 

3. 교회 성장은 화려한 장면을 연출한 적이 없다. 4세기 동안의 가톨릭 사역과 200년 동안의 개신교 사역에도, 태국의 기독교인은 인구의 1%밖에 되지 않는다. 가톨릭교회 비율은 50년간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많은 선교사와 프로그램이 있지만 개신교 성장도 매우 미미하다. 개신교인의 거의 절반가량이 총 인구의 5%도 되지 않은 종족에서 나왔다. 다음을 위해 기도하자.

 

1) 태국 그리스도의 교회(Church of Christ in Thailand, CCT). 가장 큰 개신교 단체이며, 교회 전체를 아우르는 조직망이다. 이 단체는 주류 종파에서 보수 종파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종파를 관리한다. 이 단체에 갱신의 물결이 일도록 기도하자. 그중 몇몇은 침체된 상태이기 때문에 영적 생활에서 새로운 분발이 요구된다.

 

2) 태국 복음주의 연합(Evangelical Fellowship of Thailand). 이 단체는 120개가 넘는 선교단체, 55개 이상의 교회, 7개 기독교 단체를 연결하고 있다. 많은 태국 복음주의 단체가 태국 복음주의 연합을 태국 그리스도의 교회(CCT)와 함께 그들의 고향”(home)으로 여긴다. 이들이 단결하고 효과적으로 협력하며 더욱 성장하도록 기도하자.

 

3) 거룩한 삶에 대한 교회의 높은 기준. 관대하고 느긋한 태국의 문화적 성향은 자연히 교회의 거룩한 삶에 반감을 느낄 수 있다. 목회자는 직접 모범을 보이며 거룩한 삶으로 이끌면서도, 한편으로는 교회의 혼합주의와 높은 배교율 문제에 정면으로 부딪혀야 한다. 기도 생활, 말씀 읽기, 복음 증거, 사역이 조화로워야 한다.

 

4) 태국의 교회 성장과 복음주의 운동은 새로운 차원으로 전개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 자신 있게 진행되고 있는 비전 2010(Vision 2010)/태국을 사랑하는 모임(Love Thailand)/TEC 사역은 8만여 마을을 포함한 태국 전국에 복음을 전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 광범위한 비전은 복음 전도 말고도 전국적인 기도 네트워크, 지도력 개발, 광대한 연구조사, 공동체 개발이라는 다양한 사역을 포함한다.

 

5) 복음 전도가 미미한 지역. 태국 교회는 대부분 성도가 30-50명 수준으로 매우 작으며, 방콕과 북서부에 집중되어 있다. 7,415개 소구역 가운데 6,000개 지역에 아직 교회가 없다. 남부 지역과 북동부(이산) 지역, 소구역의 90%에도 교회가 없다.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180531-태국2 운영자 2018.05.31 0 282
다음글 180529-탄자니아2 운영자 2018.05.29 0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