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 전 세계를 위하여 하루 1시간씩 한 나라를 위하여 기도합니다.
효성동교회는 24365기도 172팀입니다.
| 180505-캄보디아1 | 운영자 | 2018-05-05 | |||
|
|||||
|
5월 5일 24365기도는 캄보디아입니다. (5월 5-6일) 지리 면적 181,035㎢. 비옥하고 산림에 뒤덮인 메콩 강 유역의 인도차이나 반도 남서부에 위치한 국가다. 인구 2010년 15,053,112명 2020년 17,706,611명 수도 프놈펜 1,962,498명 도시화 22.8% 15세 이하 인구 33.0% 평균수명 60.6세 종족 몬-크메르족 87.9%, 19개 종족. 크메르족 86.9%, 부족 집단 1.0%. 기타 동남아시아인 7.7%. 베트남인 4.2%, 참족(4) 2.4%, 라오족 0.6%. 중국인 4.1%. 6개 언어 집단. 기타 0.3%. 다양한 서구인과 남아시아인 집단. 문자해독률 73.6% 공용어 크메르어 전체 언어 25.0 토착어 23.0 성경이 번역된 언어 전 3, 신 3, 부 3 경제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가운데 하나로 대부분 외국 원조에 의존한다. 수년간의 전쟁과 대학살 이후 등장한 타락하고 부패한 정권 때문에 경제가 개발되지 못하였고 인구의 대부분이 빈곤에 허덕이며 38%는 최저 생활수준에도 미치지 못한 삶을 살고 있다. 현재 경제가 눈에 띄게 발전하고 있지만 지방의 가난한 자들과는 관계없는 일일 뿐이다. 농업, 의류, 관광산업이 외화를 벌어들이는 가장 중요한 소득원이다. 또한 근해에 매장되어 있는 석유와 가스가 앞으로 중요한 수입원이 될 것이다. 불법 벌목과 성매매는 소수의 악인을 배불리기 위해 다수를 괴롭히는 행위다. 인간개발지수 182개국 중 137위 공채 GDP의 63% 1인당 소득 823달러(미국의 2%) 정치 입헌군주제. 1세기부터 14세기까지는 강력한 왕정국가였고, 이후 500년간 태국, 베트남, 프랑스, 일본, 미국 등과 일부 지역에서 또는 전면적으로 갈등을 겪으며 침공과 침략, 침탈의 희생물이 되었다. 특히 월남전(1970-1975)의 비극을 겪은 직후 1975년부터 급진 마르크스주의 무장단체인 크메르 루주가 집권하여 20세기 가장 잔인한 대량학살을 자행했다. 거의 모든 전직 군인, 공무원, 의사, 지식인, 부유층과 그 일가족이 살해당하였고 전국이 거대한 노동 수용소로 전락했다. 베트남군이 1978년 크메르 루주를 몰아냈으나 4개로 나뉜 군사 세력은 강대국의 지원을 받아 1991년까지 격렬한 내전을 지속했다. 1993년에 국제사회가 주도하여 민주주의 체제가 만들어졌다. 당시 집권한 총리가 여전히 현직을 유지하고 있다. 부패가 만연하여 정치에도 큰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종교 불교는 15세기 이후 이 나라의 국교였다. 그러나 크메르 루주는 모든 종교를 박멸하기 위해 승려의 90%와 기독교인 대부분을 살해했다. 1979년부터 종교에 점차 관대해졌으며 1990년 이후에는 기독교인이 공개적으로 예배를 드릴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선교활동을 제한하는 몇몇 법규가 있다. 불교 83.34% 종족종교 4.80% 기독교 3.13% 무종교 2.97% 동양종교 2.85% 이슬람교 2.30% 기도응답 1. 몇몇 제한이 있기는 하지만 선교를 위한 문이 계속해서 열려 있다. 과거에 겪은 극심한 고난을 통해 오히려 캄보디아인은 복음을 열심히 받아들이는 마음을 갖게 되었으며 다양한 선교 사역이 꾸준히 열매를 맺고 있다. 2. 전례가 없는, 예측하지도 못한 교회 성장이 지난 20년간 이루어졌다. 1990년대까지 살아남은 기독교인은 몇 천 명뿐이었지만(1985년에 복음주의자는 인구의 0.07%에 지나지 않았다) 현재는 총 인구의 3.5%를 웃돌고 있다. 이러한 성장은 거의 전적으로 토착 교회 개척자와 복음 전도자가 주도한 교회 배가 운동을 통해 이룬 것이다. 기도제목 1. 1975-1979년에 있었던 참혹한 대량학살의 상처가 여전히 뚜렷이 남아 있다. 200만 명에 달하는 사람이 살해당했고 60만 명이 넘는 사람은 지뢰로 목숨이나 손발을 잃었다. 30살 이상 캄보디아인 대부분은 상실과 고통의 트라우마를 치유 받기 위해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한 상태다. 다음을 위해 기도하자. 1)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정의가 드러나도록. 부패와 면책, 처벌 받지 않는 문화가 득세하고 있기 때문에 캄보디아 정부와 사법부는 정당한 사법 절차를 제대로 정비해 놓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국제 사법재판소가 애를 먹고 있다. 크메르 루주 재판이 시작되면 사법 절차를 정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2) 깊은 심리적 상처가 치유되도록. 트라우마를 이겨내고 초연히 생활하거나 트라우마를 억제하는 등 여러 방식으로 많은 사람이 맞서고 있지만, 몇몇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고통을 주는 식으로 상처를 해결하기도 한다. 상담을 통해서, 그리고 성령님이 역사하셔서 진정으로 회복되도록 기도하자. 3) 모든 사람의 유익을 위하는 정부가 되어 국민에게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지금까지 캄보디아 사회를 지배해 온 통칙은 폭력, 음모, 기만, 이기주의였다. 사회 전반에 고질적으로 깊이 스며들어 있는 이러한 경향을 반드시 뿌리째 뽑아내야 한다. 2. 영적 흑암의 세력이 여전히 캄보디아에 남아 있다. 기도로 이 세력을 반드시 물리쳐야 한다. 흑암의 세력은 도처에 흩어져 있는 사원들과, 어떤 사상도 용납지 않는 강력한 불교의 저항, 전반적인 도덕적 타락에서 드러난다. 구조적 죄악이 창궐하고, 캄보디아인은 영혼의 적에게 고통당하고 있다. 복음의 빛이 비추어 사회 구조와 개인을 확고하게 변화시키도록 기도하자. 우리의 시선을 사로잡는 가난의 문제 뒤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1) 토지 횡령. (수익을 착복하는) 부도덕한 관리들이 대규모의 토지를 탐욕스러운 외국 개발자와 투기자에게 팔아넘겼고, 이곳에 호텔과 리조트가 들어서면서 지역 주민들이 고향과 집에서 쫓겨나게 되었다. 캄보디아인이 거주하고 있는데도 캄보디아 땅은 팔리거나 강탈당하고 있다. 2) 위험에 처한 어린이. 1970년대와 1980년대의 대학살로 국민의 60%가 24세 이하인 젊은 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 세대는 대부분 착취당하고 있다. 이들에게 도움과 구원의 손길이 이르도록 기도하자. ⅰ 미성년 노동자. 가난 때문에 150만 명이 넘는 15세 미만 어린이가 생존을 위해 또는 가족의 생계에 보탬이 되기 위해 배움과 건강, 심지어 목숨을 포기하면서까지 일자리로 내몰리고 있다. ⅱ 성매매 희생자가 10만 명을 넘어섰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캄보디아 여행객의 20%가 성매매, 특히 젊은 여성이나 미성년자와 성관계를 하기 위해 입국한다. 그러나 이조차도 캄보디아 남성의 성매매에 비하면 소수일 뿐이다. 이러한 이유로 캄보디아는 아시아에서 에이즈 감염자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에 속한다. 가난한 부모들은 불과 10달러에 자식을 인신매매업자에게 넘기기도 한다. 베트남계 소수 종족은 특히 크메르인 대부분이 혐오하며 피부색이 밝기 때문에 인신매매업자의 목표가 된다. 6살밖에 안 된 소녀들을 구출해낸 사건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이후에 꾸준하게 필요한 오랜 치료와 삶을 갖추어가는 과정의 시작일 뿐이다. ⅲ 집 없는 아이와 고아. 크메르 루주 때문에 가족이 붕괴되고 연이은 가난으로 거리에서 생활하는 아이와 버려지는 아이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많은 기독교 선교단체는 이 귀중한 영혼들이 예수님의 사랑에 더 잘 반응한다는 사실을 목격하고 있다. 한때는 고아원이 급속하게 증가하기도 했지만 인구가 안정되면서 청소년 회관을 운영하거나 대가족을 위한 사역을 확대하는 일이 더욱 적절한 방법으로 여겨진다. 3) 마약 거래와 남용이 지난 15년간 급증했다. 중독성이 강한 마약이 많은 사람을 지배하고 있으며 그들의 고통으로 이익을 챙기는 이들은 범죄 조직 우두머리뿐이다. |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