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365기도

  • 홈 >
  • 훈련/선교/기도 >
  • 24365기도

매일 전 세계를 위하여 하루 1시간씩 한 나라를 위하여 기도합니다.

효성동교회는 24365기도 172팀입니다.

24365기도
180305-인도2 운영자 2018-03-05
  • 추천 0
  • 댓글 0
  • 조회 304

http://hyosungch.or.kr/bbs/bbsView/46/5392011

3524365기도는 인도입니다.

고아(Goa)와 구자라트(Gujarat)주를 포함하여 기도한다.

 

4. 힌두교는 세계에서 셋째로 큰 종교다. 광범위한 측면에서 힌두교는 문명적인 역동성으로 삶의 모든 면을 통합한 것으로, 인도에 살고 있거나 인도나 인도 문화에 정체성을 둔 사람을 포함한다. 종교로서 힌두교는 철학적(자아실현)인 것에서 베다에 영향을 받은 의식, 대중적인 표현(우상), 마을의 힌두교(정령 숭배, 신비주의)까지 포함하는 종교적 신념과 체계를 다원적으로 연결하는 망이다. 맞부딪히는 어떤 종교 요소도 흡수하는 포용적인 종교, 관용과 평화의 종교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종교는 요가, 하레 크리슈나/국제 크리슈나 의식 협회(International Society for Krishna Consciousness, ISKCON), 뉴에이지, 처세술 등을 통해 세계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많은 힌두교 개념이 21세기 포스트모던 문화에 스며들었는데, 요가, 구루, 카르마, 다르마, 환생, 초월 명상법 등이다. 다음과 같이 기도하자.

 

1) 힌두교는 문화적인 호소력이 강하지만, 힌두교도는 여전히 생의 완성과 목적을 추구하면서 창조자와 진정한 관계를 맺고자 갈망한다. 기독교인(“서양인으로 간주되는)이 그리스도가 가져오는 진정한 영성과 변화를 인도식 문화 표현으로 정확히 나타내도록 기도하자.

 

2) 힌두 카스트 제도는 해결되지 않은 주요 과제다. 교육과 공무원 임용에서 차별 받는 자에게 혜택을 주는 차별 철폐 조항과 법적인 차별 금지는 조건적인 평등을 조성하지만 이 문제를 극히 일부만 다룰 뿐이다. 법적 권리, 토지, 국부 공유에 대한 달리트 계급의 점증하는 요구와, 조상들이 소유한 토지를 보호해 달라는 부족민의 요구는 종종 방해와 협박, 억압에 부딪힌다. 다음을 위해 기도하자.

 

i 정부가 카스트의 현실과 인구 대부분의 빈곤을 지혜롭게 다룰 수 있도록 기도하자. 이것은 달리트와 부족 공동체가 당하는 폭력을 단호하게 다루고 종교에 관계없이 모든 달리트에게 차별 철폐 조항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ii 자신이 속한 계급에서 카스트를 뿌리 뽑고 모든 억압 받는 자에게 사역할 때 기독교인이 그리스도를 닮아 성경적으로 대응하도록 기도하자. 기독교인의 약 80%가 달리트나 부족 공동체에 속하기 때문에, 힌두교도는 대부분 기독교를 사회 하층민과 관련지어 생각한다.

 

iii 교회. 복음을 전할 때 카스트 제도에 민감하며, 집단 회심 운동을 통해 그리스도께 인도하도록 기도하자. 또한 교제권을 형성할 때에도 사회를 분열시키는 장벽을 제거하는 방향을 모색하도록 기도하자. 많은 교회가 카스트 제도에 따라 차별하는 죄를 범한다.

 

3) 힌두트바 극단주의는 인도에 해악을 끼치고 있다. RSS, 바즈랑 달(Bajrang Dal), 두르가 바히니(Durga Bahini), 쉬브 세나(Shiv Sena), VHP, 상 파리바르(Sangh Parivar)와 같은 전투적인 힌두교 집단은 사회에 영향력을 끼치는 모든 영역마다 단원들을 침투시킨 결과 현재 정치적인 힘과 후견인을 얻게 되었다. 그들은 수정주의자의 역사를 알리고, 소수 종교와 소수 인종에 대한 차별을 제도화하며, 대중매체를 통제하려고 한다. “인도는 오직 힌두라는 힌두트바 이념으로 무슬림과 기독교인에 대한 위협과 폭력을 정당화하고 이 종교들을 외국 종교로 낙인찍었다. 다음을 위해 기도하자.

 

i 집단 폭력이 종결되고 선동자들이 회개하여 그리스도를 발견하도록 기도하자.

 

ii 지역 곳곳에서 일어나는 핍박에 맞서 기독교인들이 연합하고 용기를 가지도록 기도하자. 공격 횟수가 1년에 1,000건이 넘는데, 주로 산발적이며 BJP가 통치하는 주에 집중되어 있다.

 

iii 극단주의 힌두교도의 재개종 프로그램이 성공하지 못하도록 기도하자. 위협 받고 있는 달리트와 부족 기독교인들이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그리스도 안에서 굳게 서도록 기도하자.

 

iv 자신을 핍박하는 자들에게 기독교인들이 그리스도의 사랑과 용서를 보여주도록 기도하자.

 

5. 인도 교회는 매우 다양하며 유산이 장대하다. 한편으로 생명력 있게 성장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명목적이며 쇠퇴하고 있다. 인도 기독교의 많은 부분이 지난 300년간의 집단 회심 운동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간간이 지역적인 부흥도 일어났다. 서구식 교단, 자유주의 신학, 보편주의, 명목주의가 증가하면서 수백만 비기독교인에게 전도하던 성령의 강이 바싹 말랐다. 오늘날 많은 교회에는 비기독교 배경에서 개종한 1세대 신자가 매우 드물다. 인신공격, 권력, 재산에 대한 논쟁은 많은 파당과 법적 시비, 환멸을 초래하였고, 그 결과 청년들은 물질주의에 빠져들었다. 반면 꾸준한 기독교의 흐름으로 이러한 집단에서 더 새롭고 역동적인 독립교회로 변모하는 곳도 있다. 현재 압박과 성령의 역사가 기독교의 전통적인 형태에 새 생명을 가져다주도록 기도하자.

 

1) 정교회는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기독교 형태로, 그 역사는 1세기에 인도에서 사역하다가 순교한 것으로 알려진 사도 도마의 전통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정교회 기독교인은 수백만 명에 달한다. 신앙고백이 다른 많은 교단도 도마의 전통에 큰 영향을 받았다. 정교회는 케랄라와 인도 남서부에 강하게 뿌리내리고 있다.

 

2) 가톨릭은 인도 기독교에서 단일 교단으로는 가장 큰 집단으로 최대교인이 거의 2,000만 명에 달한다. 자선 사업으로 잘 알려진 가톨릭은 특히 빈민 중에서도 가장 가난한 자들에게 사역한 마더 테레사로 유명하며, 인도 총 수의 20%가 넘는 5,000개 이상의 건강관리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3) 교회 내 변화에 대한 요구가 어느 때보다 크다. 다음을 위해 기도하자.

 

i 연합. 전국 연합 기독교 포럼(National United Christian Forum)을 통해 가톨릭 주교 포럼(Catholic Bishops’ Forum), 전국 교회 협의회(National Council of Churches), 복음주의 연합(Evangelical Fellowship)이 하나 되었다. 모든 교단의 기독교인을 섬기는 인도 전국 기독교 협의회(All India Christian Council)5,000개가 넘는 선교단체, NGO, 교단, 협의회를 통해 인권, 사회정의, 종교의 자유, 소수자보호를 위해 사역하고 있다. 과거에는 분열이 눈에 띄던 인도 교회가 외부 세력의 적대적 태도 때문에 부분적으로 이전보다 훨씬 단합하고 있다. 연합을 성숙시키고 지속하도록 기도하자. 지역 교회와 선교사 파송단체는 더욱 협력하는 책임 있는 태도가 필요하다.

 

ii 교회 문화, 교회 구조, 교회 외적 표현의 토착화. 꽤 오랫동안 교회는 외국 문화 양식에 의존해 왔다.

 

iii 서구식 예배 방식과 예배 장소보다 인도식 셀/가정 교회에 더 크게 의지하도록 기도하자.

 

iv 복합적인 복음주의 방식으로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주며 조직적이고 협력적인 노력으로 행해지는 제자훈련이 효과적이도록 기도하자. 큰 집회나 치유, 기적으로 신앙을 갖게 되는 새신자가 많다. 그러나 그들의 신앙을 강화하고 지탱시킬 기독교 훈련은 거의 없다.

 

v 교회가 인도 주류 사회에 더 적절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도록 기도하자. 사람들은 교회가 사회에서 소외되고 가난한 사람하고만 관련 있다고 여긴다. 인도 사회 대부분을 형성하는 사업, 정치, 예술, 문화, 중상층은 아직 복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

 

6. 성경을 믿는 교회와 단체가 성장하고 있는데, 공식 수치를 훨씬 초과할 정도다. 그러나 믿을 만한 성장 정도 측정은 어렵다. 현장에서 보이는 오늘날의 현실은 단지 교회와 비전 2020과 같은 동원 운동으로 표현된 목표의 단편일 뿐이다. 이 성장과 관계된 많은 요인 가운데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1) 역동적인 신생 오순절주의와 은사주의 모임이 싹터서 많은 분야로 뻗어 나가고 있다.

 

2) 복음주의 교단이 증가하고 교회도 커지고 있다. 많은 교단을 연결하는 몇몇 주요 네트워크가 있다. 인도 복음주의 연합(Evangelical Fellowship of India, 224개가 넘는 교단 및 단체와 연결), 인도 오순절교 연합(Pentecostal Fellowship of India, 모든 주요 오순절 교단과 연결), 침례교 복음주의 연맹(Baptist Evangelical Alliance) 등이다. 이 네트워크는 기도, 집회, 목회자 수련회, 훈련 조직, 문서 제작, 선교와 전도 활동을 통해 신자를 성숙시키고 견고케 하며 동원하는 일에 쓰임 받고 있다.

 

3) 가톨릭의 은사주의 운동은 1972년에 시작되었으며 거의 모든 가톨릭교회로 퍼지고 있다. 이 운동은 매우 깊은 영향력을 끼쳤고, 많은 사람에게 새생명을 주었으며, 복음 전도 활동을 자극하였다. 인도 가톨릭신자 가운데 10% 정도가 은사주의에 속한다.

 

4) 북인도에 형성된 기독교인 모임인 예수 다르바르(Yesu Darbar)에 수만 명이 모이는데, 인도 상황에 맞는 성경적인 예배와 교제 방식을 만들고 있다. 기존 교단 구조 밖에는 예수 바크타스(Yesu Bhaktas), 비밀신자, 세례를 받지 않은 기독교인이 말 그대로 수백만 명이나 있다. 이와 같이 성장하는 단체가 효과적으로 제자훈련하도록 기도하자.

 

5) 인도 복음화를 위한 많은 중보기도 네트워크에 수백만 명의 기독교인이 참여하여 번창하고 있다. 새롭고, 종종 대규모인 기도 운동과 단체가 수백 개나 된다. 여성, 심지어 아이들이 주도하는 운동도 많은데, 이러한 모임이 인도에 하나님 나라가 부흥하도록 이끌고 있다.

 

6) 수백만 명이 그리스도의 메시지에 더욱 마음을 열고 있다. 기독 문서, 곳곳에서 방송되는 라디오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대량 배포되는 기독교 비디오와 영화, 카세트테이프를 통해서 복음에 반응한다. 인도에서 제작된 기독 매체는 복음을 들고 효과적으로 인도인에게 다가가는 데 지극히 중요하다.

 

7. 기독교 사역자의 훈련은 지금 당장 절박하면서도 장기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요소다. 목회자, 교사, 복음 전도자, 선교사를 적절히 개발하는 것에 교회의 생명과 건강이 달려 있다. 교회의 제자훈련이 빈약하고, 가르침과 성경적인 삶의 모본, 지도력이 없는 것이 문제다. 인도의 강한 철학적 전통과 종교적·문화적·민족적 다양성이 적절한 훈련을 어렵게 한다. 그러나 사역자는 대부분 사역 환경을 구체적으로 준비하지 않은 채 파송된다. 인도에는 10만 명이 넘는 전임 사역자가 있으며, 그중 절반가량이 지역 교회에서 목회한다. 목회자 1명이 평균 6개의 교회를 맡고 있다. 다음을 위해 기도하자.

 

1) 학위를 수여하는 신학교가 100개가 넘는다. 신학교가 증가하는 것으로 인해 하나님을 찬양하자! 학위인가 단체로 세람푸르 대학 평의회(Senate of Serampore College), 아시아 신학 협회(Asia Theological Association), 인도 선교학 연구소(Indian Institute of Missiology)가 있다. 다수의 신학교가 신학적으로 복음주의다. 그러나 선교 사역을 선택하는 신학교 졸업생 수가 줄고 있다. 자국에서 효과적으로 사역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영적인 열정으로 잘 훈련된 사역자가 증가하도록 기도하자.

 

2) 1,000개가 넘는 성경학교가 있으며 10년마다 2배씩 증가하였다. 복음주의 기관마다 신학생이 가득하다. 성경학교는 단순히 신학을 가르치던 곳에서 사역, 특히 교회 개척에 필요한 실질적인 기술을 전수하는 곳으로 변하고 있다.

 

3) 토착민 사역자 훈련 센터는 거의 교회 개척자를 대상으로 하며 현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수는 100개가 넘는다(FMPB, IEM, OM, ICRM, GEMS, 인도 선교회[Missions India], 세바 바라트[Seva Bharat], 오퍼레이션 아가페[Operation Agape] ). GFA에서 센터를 55개 세웠는데, 현재 7,000명이 훈련 받고 있다.

 

4) 지도자를 배가하기 위해서는 새롭고 창의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 기숙 훈련기관에서 배출하는 지도자 수는 그 필요를 채우지 못하며, 목회자의 90%가 적절한 신학 훈련을 받지 못했다. 또한 기숙 훈련기관은 서구식 유지 모델에 국한되어 있어서 많은 비기독교인에게 최소한의 영향력만 끼치고 있다. 감사하게도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를 직시하는 비정규 교육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5) 목회자, 복음 전도자, 선교사의 전통적인 역할을 벗어나 효과적인 전도자와 사역자가 되도록 기독교인을 훈련하는 일이 반드시 필요하다. 인도 교회는 일터, 특히 정보기술, 비즈니스 등 새로운 분야에서 더 큰 영향력을 갖는 법을 배워야 한다.

 

6) 가정/셀 교회 운동이 인도 곳곳으로 급속히 퍼져가고 있다. 이러한 모임은 10만 개까지 추산된다. 이 운동은 문화적으로 적절하고 알맞으며, 성경적으로 참되고,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7) 남아시아 성경 주석서는 수십만 명의 잠재적인 목회자, 평신도 지도자, 신학생에게 유익을 끼칠 것이다.

 

인도 고아 주(Goa)

 

지리

면적 3,700. 1510-1961년 포르투갈의 식민지였으나, 1987년 완전한 주로 지위를 획득하였다.

인구 1,727,494. 인구밀도 432/.

 

종족

종족 집단 290. 10개 주요 집단: 고아 가톨릭(마라티-콘카니족, 주 인구의 24.8%), 쿤비족(구자라트족, 13.1%), 마라타족(마라티-콘카니족, 10.8%), 브라만족(힌두족, 6.6%), 샤이크족(벵골족, 4.8%), 할와키 와칼족(칸나다족, 3.1%), 바니아족(라자스탄족, 2.1%), 반살라족(마라티-콘카니족, 2.0%), 소나르족(힌두족, 1.7%), 기디키족(마라티-콘카니족, 1.6%).

 

종교

힌두교 65.8%, 기독교 26.7%(41.5%, 거의 전체가 가톨릭), 이슬람교 6.8%, 기타 0.2%.

 

기도제목

1. 고아는 해마다 인도와 세계 곳곳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는 지역으로 아름답고 생물군이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과 함께 마약 거래, 아동 성매매와 같은 죄의 구조가 생겨났다. 이 악을 근절하기 위해 정부에서 결정적으로 활동하도록 기도하자. 죄에 휘말린 자들을 새 생명으로 구해내기 위하여 기도하자.

 

2. 전통적으로 가톨릭은 포르투갈 식민 통치의 유산이다. 힌두교 신앙과 관습이 기독교와 얽혀 있어서 그리스도 안의 새 생명과 성경적 기독교를 아직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두 가지 모두를 위해 기도하자. 강한 가톨릭 은사주의가 존재하지만, 개신교 신자는 약 1,300명뿐이고 교회도 아주 극소수다.

 

3. 기독교인 대부분을 비롯한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콘카니어로 대화할 수 있는 사역자가 절실하다. 명목상 가톨릭 신자, 힌두교도, 무슬림에게 복음을 전하는 일꾼은 거의 없으나,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GFA, 겨자씨 선교회[Mustard Seed Ministries]). 18년간 번역한 끝에 최근 새 콘카니어 성경이 완성되었다. 하나님을 찬양하자. 복음을 전하고 명목상 기독교인을 제자화하려면 다른 문서도 필요하다.

 

구자라트(Gujarat)

 

지리

면적 196,000. 파키스탄과 인접한 연안 주로, 북서부는 사막이며 남서부는 비옥하다. 석유, 공업, 농업으로 부유하다.

 

인구 59,855,330. 인구밀도 305/km².

수도 *주도 : 간디나가르 235,000

기타 주요 도시 아메다바드 5,700,000, 수라트 4,200,000, 바도다라 1,900,000, 라지코트 1,400,000.

 

종족

종족 집단 631. 10개 주요 집단: 콜리족(구자라트족, 주 인구의 13.4%), 쿤비족(구자라트족, 13.3%), 마라타 쿤비족(구자라트족, 7.3%), 빌족(빌족, 6.6%), 라지푸트족(힌두족, 4.3%), 바니아족(라자스탄족, 4.0%), 브라만족(힌두족, 3.6%), 마햐반시족(구자라트족, 3.1%), 샤이크족(벵골족, 2.9%), 당가르족(구자라트족, 2.5%).

공용어 17. 구자라트어 90.0%, 다른 언어도 몇 가지 있다. 힌디어는 제2언어로 자주 쓰인다.

 

종교

힌두교 89.1%, 이슬람교 9.1%, 자이나교 1.0%, 기독 교 0.6%(1.2%).

 

기도제목

1. 구자라트는 종교 긴장과 핍박의 중심지다. 지역 BJP 정부, 경찰, 행정부에 힘입어 극단주의 힌두교 집단은 달리트와 부족 집단에 있는 무슬림과 기독교인을 협박하고 중상하며 괴롭히는 장기 전략을 꾀하고 있다. 합법적으로 복음 전도와 교회 개척을 어렵게 하는 반개종법이 2003년 통과되었다. 그러나 당족과 같이 부족민에 속한 기독교인을 공격적으로 힌두교화하는 것은 제지하지 않는다. 정부가 사회 내부의 조화와 진정한 종교의 자유를 조성하도록 기도하자. 구자라트는 간디의 고향이다. 그가 추구한 평화와 관용이 구자라트에 실현되기를 기도하자.

 

2. 교회는 가톨릭, 북인도 교회, 감리교가 지배적이다. 최근에 개척된 토착 교회를 포함해서 다른 소규모 복음주의 교단도 많다. 압제적인 종교 상황이 전도 활동을 방해하고, 영적 생명력을 약화시키며, 분열을 조장하는데, 어떤 지방에서는 교회가 힌두교와 타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핍박이 종종 새 생명과 부흥을 일으킨다. 구자라트 교회에 성령께서 강력하고 새롭게 역사하시도록 기도하자.

 

3. 5개 행정구에서 교회가 눈에 띄게 성장했다. 남동부 당스 행정구에서 나타나는 급격한 교회 성장과 함께, 감리교, 구세군, 신임 인도 선교사가 부족민 가운데서 노력한 결과는 과거 구자라트에서 교회 성장이 둔화된 것과 대조된다. 빌족, 쿠크나족, 가미트족, 차우드리족, 가라시아족, 콜리족, 도디아족 등에서 많은 사람이 그리스도께 나오고 있으며, 구자라트에서는 기독교인 비율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외부 압력이나 내부 실패에도 하나님께 돌아오는 일이 억제되지 않고 지속되도록 기도하자.

 

4. 미전도종족. 몇몇 부족 집단이 복음에 반응하고 있지만, 여전히 더 많은 사람이 반응해야 한다. 기독교인이 0.1% 미만인 행정구가 9, 하위 행정구가 128개 있다. 인구가 10만 명이 넘는 19개 종족에는 복음을 전하지 못하고 있으며, 아직 기독교 사역에서도 접촉하지 않은 상태다. 다음 부류를 대상으로 일하는 자들을 위해 기도하자.

 

1) 사우라슈트라는 아라비아해에 있는 서부 반도로, 100만 명이 넘는 자이나교도를 포함해서 1,200만 명이 살고 있으며 기독교인은 0.07%. 이곳은 2001년 지진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2) 무슬림은 540만 명으로 규모가 가장 크고 복음이 가장 들어가지 않은 전도 대상이다. 무슬림은 76개 집단을 이루고 있으며, 대부분 서부, 북부, 아메다바드 행정구, 동부 바루크 행정구에 거주한다.

 

3) 미전도 카스트 집단. 달리트 집단인 반기족, 나디아족, 파시족은 도시화되었고, 기독교인이 3%가 넘을 정도로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4) 복음이 거의 전해지지 않은 20개 부족 집단. 좀 더 규모가 큰 집단으로 빌족, 두비아족, 도디아족, 라타와족이 있다.

 

5) 파시족. 부유한 페르시아 태생으로 교육수준이 높은 조로아스터교 추종자가 대부분이다. 450만 명의 파시족 가운데 기독교인은 전 세계적으로 단지 몇 십 명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 가운데 사역이 시작되고, 그들 언어로 성경이 번역되도록 기도하자.

 

6) 자이나교는 도덕적 결백과 비폭력을 강조하는 옛 인도 종교다. 인도 자이나교 신자 총 500만 명 가운데 70만 명 이상이 구자라트에 살고 있다. 아메다바드 행정구는 사원이 100개가 넘는 자이나교 중심지다. 자이나교 신자는 대부분 부유하며, 교역과 산업의 많은 부분을 통제한다.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활동은 거의 없다

 

5. 대규모 구자라트 공동체가 동부와 중부 아프리카와 영국에서 성장하고 있다. 대부분 부유한 무역 상인이 되었지만, 주변에 기독교인이 있는데도 그들을 대상으로 복음을 전하는 일은 거의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글 옵션

 ​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180306-인도3 운영자 2018.03.05 0 312
다음글 180304-인도1 운영자 2018.03.03 0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