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전 세계를 위하여 하루 1시간씩 한 나라를 위하여 기도합니다.
효성동교회는 24365기도 172팀입니다.
250122-인도2 | 조성환 | 2025-01-22 | ||||
|
||||||
》 기본정보 대륙|서남아시아 》 나라개요 카스트제도는 인도의 신분제도로 승려 및 사제 계급인 브라만(Brahman), 왕족이나 귀족, 전사 계급인 크샤트리아(Kshatriya), 농민이나 상인 계급인 바이샤(Vaisya), 노예 계급인 수드라(Sudra) 등 네 개의 카스트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접촉할 수 없는 천민이란 뜻을 지닌 불가촉천민(不可觸賤民, untouchable)이 있는데, 이들은 카스트 제도에서 속하지 않는 가장 낮은 신분의 사람들이다. 이들은 기본적인 생존권을 침해받고, 성적인 폭행이나 무차별적인 폭력에 시달리며 차별을 받고 있다. 인도는 조혼제도가 있다. 전체 결혼의 3분의 1은 조혼이며, 현재 15세에서 19세 사이의 소녀의 16%가 기혼이다. 빈곤, 굶주림, 오래된 전통, 문맹, 지참금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압박이 조혼의 주요 요인이다. 결혼하는 신부에게 지참금(다우리) 제도가 있다. 신랑이 더 많은 돈을 요구하거나 신부를 인질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지참금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가정폭력과 고문 등으로 인해 많은 피해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자살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결혼한 여인은 남편이 사망할 경우 그 재산이 전부 아내에게 넘어가기 때문에 친척들로부터 가문의 남성들 중 한 명과 동침할 것을 강요당하며, ‘사티’라는 끔찍한 풍습으로 인해 죽은 남편과 함께 불 속에서 끔찍한 고통을 겪으며 죽음을 맞이했다. 이러한 악습은 법으로는 금지되었지만 여전히 행해지고 있다. 》 말씀묵상
》 기도제목 1. 인권을 약탈하는 카스트제도, 사티와 다우리제도가 폐지되도록 기도하자. 인도는 2018년 ‘여성에게 가장 위험한 나라’ 1위에 선정될 만큼 여성 인권이 가장 열악한 나라다. 여성에 대한 폭력과 그 정당성은 가부장제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대다수 여성들이 가정폭력을 자신의 운명으로 받아들여 신고할 생각조차 하지 못한다. 사티와 다우리라는 제도 등 악습이 근절되지 않고 있다. 특히 카스트 제도의 최하층에 속하는 달리트 여성들은 성폭력과 차별, 경제적 어려움을 당하고 있으며 사고를 당한 후에도 정당한 법적 조치는 기대할 수도 없다. 인도 국립범죄기록국에 따르면 2022년 한 해 동안 매일 인도 전국에선 평균 90건의 성폭행 사건이 보고됐다. 그러나 여전히 인도 정부와 관계자들은 이러한 일들과 카스트 제도의 연관성을 부인하면서 개선될 여지는 보이지 않고 있다. 2. 인도의 여자 아동들을 위해 기도하자. 극단적인 남아선호사상이 만연한 인도는 여아 낙태와 살해가 많이 일어난다. 특히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다. 유엔인구기금 2020년 6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0년간 인도에서 약 4,600만명의 여아가 실종됐고, 낙태나 출생 후 고의적인 방치로 사망하는 여아도 연간 46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발표 했다. 18세 미만의 여아들이 조혼과 강제 결혼으로 고통당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를 맞이하며 학교가 폐쇄되고 극도의 가난을 맞이하게 되면서 불안감을 느낀 시골 지역의 부모들은 딸들을 빨리 결혼시켜 버리는 것이 안전을 보장하는 방법이라고 여긴다. 3. 인도의 아동들은 인권이 보장되지 못한 채 범죄와 노동 착취, 빈곤으로부터 위협당하고 있다. 극심한 가난과 인구과잉에 복잡하게 얽혀 아동들을 당장의 욕구와 필요에 의해 소비될 수 있는 존재로 여기고 학대하고, 범죄의 도구로 사용하는 등 온갖 위험에 내몰리고 있다. 교육은 커녕 굶주림 속에서 노동에 시달려야 하는 어린 아이들을 주님의 손에 의탁하자. 인신매매와 노동 착취로 고통받는 아동 노동자들을 구출해 내는 NGO 단체들과 정부의 단속 등이 있지만 변화는 아주 미미하다. 인권의 사각지대에 있는 아동들을 보호하여 주시고, 도무지 나을 소망이 보이지 않았던 베데스다의 병자처럼 소망이 없어 보이는 인도의 아동들에게 주님이 찾아가 만나 주셔서 그리스도 안에서 존귀한 자임을 깨닫게 하시고 참된 소망을 발견하길 기도하자. |
댓글 0